Home팩트체크지역화 속 아시아 성장, 역내 수요자 역할 기대되는 중국 위안화 위상 제고...

지역화 속 아시아 성장, 역내 수요자 역할 기대되는 중국 위안화 위상 제고 전망

지역화 흐름 하에서 인구와 기술 발전 여력 등 성장잠재력을 고려했을때 아시아 지역의 확장 속도가 우세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지역 내에서 수요자로의 역할 변화를 꾀하는 중국의 위상과 더불어 위안화 가치 제고가 기대된다. 구매력 기준 GDP는 중국이 2016년부터 미국을 앞서기 시작했다. 향후 아시아 지역 경제 규모를 고려하면 과거 글로벌 수요(수입)의 15%대를 유지했던 미국 수준으로 확대 가능해 수입 중심으로 교역 점유율 증대가 이어질 전망이다.

미국과 중국 GDP(구매력 기준)
미국과 중국 GDP(구매력 기준)

수출은 아세안과 인도 등으로의 저위기술 산업 이전에 이어 중위기술 산업 이전도 전개되며 점차 생산 거점 역할이 후퇴해 점유율이 하락하겠다. 지역화 기조로 수출 상대국의 범위가 제한되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대신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및 디자인/R&D 역량 확대로 부가가치 비중은 늘어날 여지가 있고, 아시아 지역에서 중국 플랫폼 기업들의 영향력 확대 가능성도 잠재한다. 2015년 이후의 미국 사례처럼 공급망에서의 영향력은 유지될 수 있다.

중국 부가가치 비중과 위안화 가치
중국 부가가치 비중과 위안화 가치

공급망 재편으로 인한 비용상승 압력이 비교적 제한돼 물가(=구매력) 측면에서는 다른 통화 대비 유리하다. 북미와 유럽에비해 노동력이 풍부해 기존 중국에 집중됐던 중저위기술 산업의 생산 거점 이전에 대한 선택지가 많다. 실제로 2010년대 중반 이후 ASEAN과 인도로의 생산 기지 이전이 활발하게 진행됐다.

국가별 임금 비교
국가별 임금 비교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