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팩트체크반도체 공급부족 시대: 생산 업체보다 소부장 업체의 수혜가 더 클 전망

반도체 공급부족 시대: 생산 업체보다 소부장 업체의 수혜가 더 클 전망

반도체 공급부족이 장기화되는데, 그 수혜가 생산업체보다 소부장(소재/부품/장비)에 더 집중되는 구조다. 생산업체의 CapEx의 기울기가 이익보다 크다. 소부장의 이익 기울기가 생산업체들의 CapEx에 비례한다. 결과적으로 소부장의 이익 기울기가 생산업체보다 크다. 이 구조는 공정기술 난이도 상승이 지속되는 방향성에서 장기적으로 확정적이다. 한국 소부장은 M/S 상승, 신제품 확대, 고객군 확장 등의 기회도 가지고 있다.

소부장의 세마리 토끼 – 1. 전방 투자 요구량 증가

소부장 업체들의 실적은 생산업체들의 CapEx에 연동된다. 그리고 생산업체들의 CapEx 규모는 생산업체들의 이익보다는 매출에 연동된다. 실제로 반도체 업체 들의 매출액 대비 CapEx 비율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상승하고 있다.

SK하이닉스 / 마이크론 매출액과 Capex 추이
SK하이닉스 / 마이크론 매출액과 Capex 추이
TSMC 매출액과 CapEx 추이 / SK하이닉스, 마이크론, TSMC 매출액 대비 CapEx 추이
TSMC 매출액과 CapEx 추이 / SK하이닉스, 마이크론, TSMC 매출액 대비 CapEx 추이

소부장의 세마리 토끼 – 2. 변동성 축소

메모리 반도체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실적 변동성 축소다. 생산업체들의 Cycle 변동성이 축소된다면, 생산업체들의 실적과 연동 되는 장비/소재/부품 업체들의 실적 변동성도 축소될 수 있다.

소부장의 세마리 토끼 – 3. M/S 상승

한국 반도체는 밸류체인 육성이라는 중요한 과제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2019년 한일 소재 수출 금지 사태, 해외 반도체 장비 리드 타임 증가,국산 업체들의 기초 체력 상승 등으로 한국 반도체 내 국산화 요구를 크게 자극시키고 있다. 한국 장비/소재/부품 업체들은 변동성이 축소된 이익 증가를 향유하면서, 안정적인 현금 창출을 R&D 증가로 연결시킬 것이다. 그리고 기존 제품 내 M/S 상승, 신제품 및 고객군 확장 등의 기회를 성과로 연결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메모리 이익 Cycle 대비 소부장 밸류체인 실적 확장 예상
메모리 이익 Cycle 대비 소부장 밸류체인 실적 확장 예상

실제로 소부장 업체들의 실적 및 주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압도하고 있다. 반도체 공정기술 난이도 상승이라는 명제가 지속되는 한 이 구조는 장기적으로 확정적이다.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