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팩트체크펩시(Pepsi): 230억 이상 브랜드 가치의 글로벌 음료/스낵 기업

펩시(Pepsi): 230억 이상 브랜드 가치의 글로벌 음료/스낵 기업

펩시(Pepsi)
펩시(Pepsi) / 상장코드: PEP.US / 시가총액(조원): 292.6

기업 개요

  • 대표 브랜드로 펩시, 마운틴듀, 트로피카나, 치토스 등을 보유. ’20년 기준 미국 비중은 58%, 글로벌 비중은 42%. 코카콜라(KO)가 음료만 판매하는 것 대비 동사는 스낵/푸드까지 판매.
  • 이는 팬데믹 시기 코카콜라 대비 펩시의 간극을 벌렸던 대표적 특징. 먼저 팬데믹 시기에 식당 및 오프라인 유통 락다운이 이어지며 펩시, 코카콜라의 음료 사업이 상당한 타격 입음. 펩시는 푸드 사업을 보유하고 있어 몇몇 식사 대용 가공 식품 라인이 음료 라인의 피해 방어.
  • 또한 콜라 시장에서의 점유율 경쟁은 코카콜라가 승자지만, 소비자들의 관심이 점점 건강/웰빙으로 옮겨가며 음료 산업 안에서만 경쟁할 유인이 계속해서 줄어드는 구조. 스낵/푸드 산업은 음료보다 고마진, 고성장 사업이기도 함.
  • ’21년 장기 성장에 대한 재투자로 매출 성장 불구 마진은 다소 하락. 음료 사업부문은 외부 트래픽, 외식업 반등에 직결되며 동시에 가정 부문도 꾸준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음.
  • 다수 소비재 섹터가 팬데믹때 밸류에이션이 비싸진 것 대비 여전히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산업 전체적으로 상승폭 남아 있음.
펩시 2019~2023F 실적 전망
펩시 2019~2023F 실적 전망
펩시 매출 구성
펩시 매출 구성
12개월 선행 PER 밴드
12개월 선행 PER 밴드

핵심 투자 포인트

1. 필수재 선방 & 리오프닝 연결

  • 금리환경 우려에 성장주 리스크 커지며 ’21년 연말부터 필수재 수급 개선 이어짐. 대부분의 필수소비재는 팬데믹 2년 동안 타 소비재 대비 주가가 거의 상승하지 않아 밸류에이션 적당.
  • 음료의 경우 필수 소비재임에도 불구하고 리오프닝 모멘텀과 연결되는 장점. 식당 채널에 들어가기 때문에 외식업, 외부 트래픽에 연동. 펩시 역시 가정용 수요가 유지되는 가운데 외부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

2. 음료 및 과자 가격 인상 완료

  • 음식료 기업은 인플레이션 압박 시기에 전통적으로 유리. 20~21년도 원재료 상승 사이클에 대부분의 식품주 가격 인상 완료. 식품 가격 인상 후 유통채널에 있는 기존 물량을 대체하기까지 3~6개월 시차 존재. 가격 인상분은 ’22년부터 실적에 본격 반영될 것으로 판단.
  • 가격 결정력이 계속 높아져 펩시가 역사적으로 보유해온 가격 탄력성 수준보다 더 낮아진 상황.

3. 장기 전략 강점

  • 소비자들의 관심이 건강/웰빙으로 옮겨가며 더 이상 콜라 내에서만 경쟁할 유인이 줄어들었음. 코카콜라는 음료 내에서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반면 펩시는 스낵/푸드로 확장해 음료 기업보다는 종합 식품 기업으로 거듭남. 이 전략이 더 유리한 이유는 (1) 스낵/푸드 산업은 음료보다 고마진, 고성장 사업이며, (2) 변화하는 웰빙 트렌드에 발맞춰 나가기 용이하고, (3)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시장 방어적이기 때문
팬데믹 시기 코카콜라와 펩시 매출 추이
팬데믹 시기 코카콜라와 펩시 매출 추이
펩시 마진율 최근 분기 추이
펩시 마진율 최근 분기 추이
필수소비재 수급개선
필수소비재 수급개선
관련 기사 / 자료
글로벌 공급망은 변화 중: 분열화, 민족주의화, 슬로벌화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