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팩트체크텍사스주 ESS 시장 성장 전망

텍사스주 ESS 시장 성장 전망

텍사스 주는 주정부 차원의 에너지 저장장치 용량 목표나 보조금 등의 인센티브는 존재하지 않는다. 전력시장에서도 미국의 다른 주와는 다르게 용량보상을 위한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고 에너지시장과 보조서비스 시장을 통해서만 투자비와 고정비 및 변동비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진다.

투자비 보상을 위해 텍사스 전력시장에는 피크시간대에 전력 가격에 별도의 Adder가 부과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매 전력시장의 가격변동이 다른 전력 시장 대비 크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에너지 시장과 가격이 일부 연동되는 보조서비스 시장의 가격 수준도 피크시즌에 높게 형성되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의 경우에도 다른 지역과 다른 시장 환경을 반영하여, 별도의 용량요금 계약 없이 전력시장의 변동성에 기반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을 주로 가져가고 있다.

이미 풍력 비중이 높은 텍사스 시장은 향후에도 재생에너지, 특히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의 건설이 더욱 확대되며 전력시장의 변동성은 지속적으로 증가 예상된다. 이러한 전망에 따라 전력시장의 변동성에 기반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Merchant 에너지 저장장치 프로젝트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텍사스 ESS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다만, 이러한 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는 유틸리티와의 장기 계약이 없어 전력시장의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은 투자자 관점에서는 유의할 포인트다.

ERCOT 배터리 ESS 설치 계획 용량
ERCOT 배터리 ESS 설치 계획 용량

텍사스에서는 2021년 2월 Winter Storm Uri로 인해 다수의 발전소들의 전력공 이 불가능해지면서, 도매 전력가격이 상한선인 MWh당 9천 달러까지 폭등하였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당시 갑작스러운 추위로 인한 가스관의 결빙, 난방을 위한 가스 수요의 증가로 인해 가스 파이프라인에 Firm Gas Transportation 계약을 확보하고 있지 않았던 가스발전소의 연료 조달 실패, 추위로 인한 풍력발전 Blade의 결빙 등 복합적인 이슈로 인한 전력가격 급등 현상과 정전은 1주일 이상 지속되었다. 상대적으로 이 시기에 정상 가동이 가능했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들은 전력시장에 보조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높은 수익을 올렸다.

또한 향후 유사하게 기후 급변으로 인한 전력 문제가 재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다수의 배터리 이용 에너지 저장장치를 확보하는 것이 한가지 옵션으로 고려되고 있다. 다만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역시 수일간의 연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기술적 제한으로 인해 이번 Winter Storm Uri와 같은 기후 급변사 태에 근본적 해결방안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은 제한이다.

텍사스에서는 전력시장의 변동성 축소를 위해 미국의 타 지역과 같이 용량요금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존재한다. 그러나 용량 요금 도입에 대한 논의는 몇 년 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까지도 결론을 맺지 못했으며, 향후에도 용량요금의 도입은 불확실하다. 이는 역사적으로 발전소의 수나 용량이 전력안정성을 담보하지는 못했다는 경험과 텍사스의 문화적인 배경이 뒷받침 된 현상이다. 그러나 용량요금의 도입 여부와 관계없이 에너지 저장 장치 설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풍력과 태양광의 급증으로 전력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는 펀더멘탈이기 때문이다. 용량요금이 도입된다면 타 지역과 유사하게 용량시장과 에너지 시장 및 보조서비스 시장의 보상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로 수익구조가 변화할 수 있다.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