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T서비스 개요 및 시장 현황
IT서비스 시장 성장에 주목할 시기다. IT서비스는 기존 IT의 효율화 및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IT서비스의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 및 업그레이드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IT서비스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IT서비스 시장 수요는 기존 IT업체의 수요뿐만 아니라 유통, 엔터, 2차전지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IT서비스는 SM(System Managemet), SI(System Integration)로 구분된다. SM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설비, 인력, 하드웨어를 운영하는 것이다. 고객사는 전문화되고 효율적인 IT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SI는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 시스템 구축 계획 및 시스템 설계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객사의 맞춤형 IT서비스를 제공하며 발주, 조달, 보수 등이 포함된다.

2.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SI 위상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기술 역량에 주목하자. 자율주행, AI, 클라우드 등 서비스 수요 확대에 따라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 또한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또한 글로벌 IT업체의 투자 확대에 따른 국내 IT서비스 업체의 수혜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정부 정책 확대에 따라 디지털 전환의 속도 또한 가속화될 전망이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수요자들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필요성 및 편리성을 경험했다. 일시적 비대면 수요 증가가 아닌 소비자(산업별)의 니즈에 맞춘 패러다임 변화로 미래를 이끌 전망이다. 메타버스 활용 유통 플랫폼, 고객사 맞춤형 클라우드 솔루션, 자율주행 등 클라우드 영역의 확장성에 주목할 시기다.

시장內 트래픽 증가에 따른 패러다임 변화로 데이터센터 수요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과거 그룹사內 데이터센터 운영에서 외주 데이터센터로의 관리/운영 역할도 확대될 전망이다. IT서비스 업체의 포지셔닝이 과거 그룹사內 솔루션 개발 업체에서 IT서비스를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리드오프로의 도약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