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팩트체크디스플레이 업체들의 탄소중립 노력

[ESG리포트]디스플레이 업체들의 탄소중립 노력

환경 보존을 위한 다양한 노력

디스플레이도 다른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팹에서 제품을 생산해내는 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다양한 책임론들이 대두되고 있다. 패널 생산에 들어가는 카드뮴과 인화인 같은 소재의 사용을 줄이고 팹 가동에 따른 다양한 유해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환경 보존을 위한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노력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공정 개선을 통한 직접적인 유해물질 배출량 저감, (2) 제품 개선을 통한 간접적 저감 활동이다.

삼성디스플레이

친환경 경영을 위해 탄소중립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다. 전 분야에서 탄소 감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꾸준한 관리를 진행 중이다. 디스플레이 팹의 특성상 제품 생산성과 직결되는 공정가스의 감축은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꾸준한 노력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중이다. 그 결과로 이산화탄소, 불소화가스 등의 온실 가스 배출량을 매년 줄여가고 있다.

LG디스플레이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을 위해 다양한 요인들을 점검하고 있으며 관련 투자를 적극 진행 중이다. 정부로부터 매년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고 있으며 할당량 내에서 배출량을 관리하기 위해 내부 기준을 수립 및 이행하고 있다. 14년 대비 22년까지 16.8%, 50년까지 75.6%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목표치를 설정했다.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SF6 가스를 대체하거나 SF6, NF3 등이 사용되는 공정에 감축설비를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 중이다.

공정 개선을 통한 직접적인 배출량 조절

공정 개선은 여러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팹 가동에 쓰이는 소재의 사용량을 줄여 환경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재생에너지의 활용 확대, 대기오염 물질 저감, 유해화학 물질 관리, 수자원 관리 등이 있다.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는 꾸준히 진행 중이다. 일부 공장에 한해서는 100% 재생에너지 활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모든 팹에 적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산업의 특성상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내 인프라 확장까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나 한국판 RE100 달성을 위해 전환 중이다.

대기오염 물질 저감을 위해서는 NOx 등의 제품 버너를 시설 내에 설치하는 등의 노력을 진행 중이다. 공정가스도 최대한 덜 유해한 소재의 활용을 높이는 과정 중에 있다. 일부 시설물에는 탈질시설을 설치해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줄이는데 힘쓰고 있다.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공정 내 인프라 개선을 통해 사용량 절감, 재활용수 관리, 재활용률을 높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제품 개선을 통한 간접적 친환경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중국의 치킨게임을 피해 기존 LCD 사업을 축소하고 OLED로의 사업 전환을 진행 중이다. 경제적인 목적도 있지만 OLED로의 사업 전환을 통해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장점도 찾아볼 수 있다. OLED는 LCD 대비 사용되는 부품의 가지수가 적고 전력소비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LCD vs LG OLED TV Module 원료 사용량 및 재활용 가능률
LCD vs LG OLED TV Module 원료 사용량 및 재활용 가능률

LCD 제품은 컬러필터, TFT, 액정, 백라이트 등의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된다. OLED의 경우에는 TFT, 유기발광층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두께도 30% 가량 얇으며 필름이나 편광판 등의 사용이 적다. 또한 OLED를 사용하면 유해 블루라이트를 줄일 수 있어 소비자 눈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요소가 있다.

LCD vs OLED 구조도
LCD vs OLED 구조도

OLED는 소비 전력 절감에 있어서도 강점을 가진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매년 소재 구조의 변경을 통해 OLED의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고 있다. 21년의 경우에는 기존 대비 소비전력이 16% 적은 패널을 선보였다. 또한 LTPO 패널을 활 용한 ‘Adaptive Frequency’ 기능을 적용해 소비전력을 한 층 더 절감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기술 개발을 통해 향후 꾸준히 전력 소비량 감소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디스플레이 OLED 소비전력 절감에 따른 효과
삼성디스플레이 OLED 소비전력 절감에 따른 효과

최근 갤럭시 Z 폴드3에서는 Eco2(에코스퀘어) 제품을 적용했다. 기존에 OLED 패널에 사용되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해당 부분을 컬러필터와 Black PDL로 대체해 소비전력을 25% 절감하는 효과를 거뒀다. 전력 사용량 개선과 유해물질 배출 부품 제거를 통해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ECO2(에코스퀘어)
ECO2(에코스퀘어)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