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팩트체크NXP반도체(NXP Semiconductors) 투자 포인트: 차량용 반도체 사업 비중 50%, 전장화 트렌드 최대...

NXP반도체(NXP Semiconductors) 투자 포인트: 차량용 반도체 사업 비중 50%, 전장화 트렌드 최대 수혜주

NXP반도체(NSP Semiconductors)
NXP반도체(NSP Semiconductors) / 상장코드:NXPL.US / 시가총액(조원): 63.2

기업 개요

  • NXP반도체는 네덜란드 아날로그 반도체 업체. 2006년 필립스에서 분사돼 설립. 2015년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당시 차량용 반도체 4위 업체)를 인수하며 2017년부터 업계 정상으로 도약
  •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커넥티비티, 전력 관리, 배터리 관리 솔루션 등 전장 분야에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축
  • 최종 수요처별 매출 비중: 차량용 50%, 산업 및 IoT 22%, 통신인프라 16%, 모바일 13%
  • 보안성, 고신뢰성을 강점으로 차량용 반도체 업계에서 경쟁 우위의 레퍼런스 확보
  •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수요 회복으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심화. 북미, 유럽 자동차 OEM 감산 현실화. 각국 정부는 대책 마련 위해 파운드리 및 아날로그 업체들에 증산 요청
  • 공급자 중심의 시장 환경 조성. ASP 최소 15~40% 상승. 2022년에도 상승세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레버리지 효과 기대. 자동차 산업 노출도 높아 전장화 트렌드 최대 수혜 예상
  • 2021년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감소에도 전기차 침투율은 상승세 지속.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의 반도체 탑재량은 최소 2배에서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탑재 시 4배 이상 증가
NXP반도체 2019~2023F 실적 전망
NXP반도체 2019~2023F 실적 전망
NXP 반도체 항목별 매출 구성
NXP 반도체 항목별 매출 구성
NXP반도체 12개월 선행 PER 밴드
NXP반도체 12개월 선행 PER 밴드

핵심 투자 포인트

1. 비용 전가 및 장기 계약 확대

  • 코로나19로 촉발된 자동차 OEM들의 가동 중단 사태로 차량용 반도체 업체들은 수요 절벽을 경험. 예상보다 빠른 공급체인 정상화는 급격한 수요 촉진으로 이어져 ’20년부터 공급 부족 발생
  • 글로벌 반도체 공급난에 감산 불가피. 미국, 유럽정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을 추진중. 공급자 중심의 시장 환경 조성되면서 ASP는 최소 15~40% 상승. 고정비 부담 가중됨에 따라 자동차 OEM들은 이를 수용하고 있으며, 안정적 공급을 위한 장기 계약을 확대

2. 전장화 트렌드의 최대 수혜주

  •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에 탑재되는 차량용 반도체는 평균 2.4배. 자율주행/안전성 확보에 필수 기술인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를 포함하면 최대 4배 이상 탑재량 증가 기대
  • 미국, 유럽, 일본, 중국은 안전 규제 및 스마트 기능의 의무 탑재 비중 확대. 차량용 반도체의 폭발적 수요 증가를 견인할 전망. ADAS 및 자율주행 탑재 차량은 ’18년 2,385만대에서 ’30년 8,250만대로 연평균 12% 성장 전망

3. 전기차 시장은 아직 초기 국면

  • ’21년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8,072만대 기록. 전기차 침투율(BEV) 5.6%에 불과. 여전히 전기차 시장은 초기국면이며, ’20년과 비교시 2배 성장했다는 점을 감안시 올해도 고성장세 지속 전망
  • 완성차 OEM들은 향후 5년간 공격적 투자 계획. 대부분의 업체들이 ’30년까지 내연기관차의 완전
  • 퇴출을 준비 중.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고도화 등 기술 변화에 따라 차량용 반도체 평균 탑재량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 높아 구조적 성장성에 주목할 필요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