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FD(기후변화 관련 공시 제도,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CFD는 자발적인 기후 관련 정보 공개를 위해 국제결제은행(BIS)의 금융안정위원회(FSB)에서 설립한 국제 협의체다. TCFD의 목적은 기후변화가 기업에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정량화하고 재무적으로 통합해 공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투자자들은 기후변화로 촉발되는 위험과 기회요인을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의 핵심 요소는 크게 지배구조, 전략, 위험관리, 지표와 감축 목표로 구분된다.
지배구조는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 요인에 대한 조직의 구조를 의미하며, 전략은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에 미치는 실질적 및 잠재적 영향이다. 위험 관리는 기후변화 관련 위험을 평가 및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업의 프로세스이며 지표와 감축 목표는 위 내용을 평가 및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지표와 목표 설정이다.
기후변화는 기업의 재무제표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준다. 정책적인 부분일 수도 있고 에너지 자원과 연관된 매크로 이슈일 수도 있다. 중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된 로드맵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석탄과 화학 기업들이 전통적인 사업에 대한 포지션을 고집한다면 좌초자산에 대한 위험을 감수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TCFD의 목적은 기업들이 이해관계자들에게 기후변화 위험을 제대로 공시해 사전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후관련 위험에는 전환 위험(transition risk)과 물리적 위험(physical risk)이 존재한다. 전환 위험은 저탄소 경제로 전환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리스크이며 정책 및 법률, 기술, 시장, 평판 위험이 여기에 속한다. 물리적 위험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급성은 사이클론, 허리케인, 홍수와 같이 기상현상으로 나타나는 위험이고 만성은 해수면 상승이나 고온으로 인한 장기적 변화에 노출된 위험이다.
ESG는 대세적인 흐름이다. 생존과 직결된 이슈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앞으로 친환경 제품을 양산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할 것이며 밸류체인 상에 원가 조달 역시 생산비용 절감이 핵심 고려 사항일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잠재력은 무한하다. 이미 주식시장에 2차전지, 태양광, 풍력과 관련된 기업들이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는 것처럼 앞으로 가파른 이익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다.

2020년 기준 기후변화 관련 공시제도(TCFD) 권고안을 적용하여 지속가능 보고서에 포함한 기업은 손에 꼽는다. 삼성화재, 현대제철, 삼성SDI, 삼성전자, 포스코 등으로 매우 적은 기업들이 TCFD를 준수하고 있다. 기후변화 관련 정보 공개가 보다 투명해지기 위해서는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기업들이 기후변화가 재무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중요한지를 인지하고 여러가지 제도들을 활용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관련 공시제도(TCFD)가 2017년에 발표한 권고안은 지배, 전략, 위험 관리, 지표와 목표에 대한 4가지 주요 항목의 공개를 요구한다.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가 재무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을 정량화해서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에도 TCFD를 준수하여 지속가능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업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보령(구 보령제약)은 GRI 표준과 SASB(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 기준으로 지속가능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TCFD 기후리스크 관리 지침도 해당 보고서에 반영되었다.

대기업을 포함한 중소/중견 기업들도 ESG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분위기다. ESG는 기업의 자본조달비용과 이미지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중장기적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위해서는 GRI, SASB, TCFD를 준수하며 이해관계자와 기후변화 관련 위험 및 기회 요인에 대해 소통해야 한다.
자연자본 관련 금융공시에 대한 태스크포스(TNFD)
자연자본 관련 금융공시에 대한 태스크포스(TNFD) 또한 TCFD에 이어 출범했다. UNEP, FI, UNDP, Global Canopy, WWF가 개발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자연과 관련된 위험을 보고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예정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호주 광산업체 BHP 등 420여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우리금융지주, 신한금융그룹, KB금융그룹, 포스코홀딩스가 가입했다.
TCFD에서는 기후변화를 중심에 두고 온도 상승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시 했다면 TNFD는 자연자본에 더욱 집중한다. TNFD는 자연자본을 생물적 자연, 물과 토양, 광물 고갈로 정의한다. TNFD도 TCFD와 마찬가지로 (1) 매트릭스와 타겟, (2) 리스크 관리, (3) 전략, (4) 지배구조의 4가지 틀로 접근한다. TNFD는 TCFD와 시너지를 발휘하며 ESG 관련 정보 공개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