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팩트체크은행간 시장 중심의 중국 채권시장

은행간 시장 중심의 중국 채권시장

중국인민공화국 건립 초기인 1950년대에 새 정부의 자본 조달을 위해 국채가 처음 발행됐다. 이후 30여년간 사회주의 경제체제가 지속되며 채권의 발행 및 유통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1978년 개혁 이후 1981년 국채, 1982년 회사채, 1984년 금융채가 발행되기 시작했다.

중국 채권 잔액
중국 채권 잔액

위안화 채권시장은 크게 중국내 채권시장과 역외 채권시장으로 구분한다. 역외 채권시장은 2007년 이후 홍콩에 형성된 시장이다. 중국내 채권시장에서 장외 유통시장은 (1) 은행간 시장, (2) 은행창구 시장이 있고, 장내 유통시장은 (3) 거래소 시장이 있다. 홍콩내 역외 채권시장 역시 장외 (1) 은행간 시장과, 장내 (2) 거래소 시장으로 구분된다. 중국내 시장에서는 발행 주체에 따라 국채, 중앙은행채, 금융채, 기업채 등의 채권이 거래된다. 반면 역외 시장에서는 딤섬본드, 합성 위안화 채권 등이 유통된다.

은행간 시장 채권 잔액 및 비중
은행간 시장 채권 잔액 및 비중

중국 채권은 장외시장에서 처음 거래된 이후 1990년 상하이 및 선전 거래소가 설립되며 장내시장에서도 거래가 시작됐다. 1997년 은행이 거래소 시장에서 채권 거래가 금지됐기 때문에 은행간 시장이 개설되며 주요 채권시장으로 발전했다.

중국내 채권시장 구조
중국내 채권시장 구조

은행간 채권시장의 청산기관은 CCDC(China Central Depository&Clearing, 국채 예탁결제기관)와 SHCH(Shanghai Clearing House, 상하이결제소)가 있다. 현재 CCDC에 예치된 채권 잔액 중 은행간 시장 채권 잔액은 96%에 달한다. 2020년 12월 기준, CCDC 잔액은 77조위안인 반면 SHCH 잔액은 25조위안이다. CCDC는 국채, 지방채, 국책은행 채권, 정부후원 채권 등 정부채 관련 중심 위주다. 반면 SHCH에서는 회사채, 금융채, CD, 팬더본드, ABS 등의 예탁보관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중국 국채 보유 관점에서 은행간 시장 96%, 거래소 3.8%, 은행창구 시장에서 0.1%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 국채는 대부분 은행간 시장에서 거래가 되고 있다.

중국 주요 채권 종류
중국 주요 채권 종류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