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대체재인 원자재 수요 증대나 생산비용 상승으로 인해 다른 원자재 가격의 연쇄적인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예컨대, 석탄과 원유는 교차탄력성이 0.4대로 양(+)의 관계다. 석탄의 가격 상승이 대체제인 원유 가격 상승을 자극하고, 원유의 가격 상승은 반대로 석탄의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구리의 교차탄력성도 0.3 내외다. 특히 전력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원유-천연가스-석탄 간 대체효과가 상당하다. 이미 높아져 있는 원자재 가격 레벨과 길어지는 지정학적 긴장 속에 스파이럴 효과가 현실화될 수 있다.

원자재는 또 다른 원자재를 생산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구리와 알루미늄 등을 제련하는데 전력이 필요하고, 전력을 생산하는데 원유, 가스 등의 발전원이 필요하다. 작금의 에너지 가격 상승세는 비철금속 생산 비용 부담으로 이어진다. 러- 우 긴장이 발생한 이후 유럽지역 전력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전기요금 부담으로 가동률을 낮추고 생산량이 감축된 바 있다.